· 고결한 삶을 살다 간 ‘지나간 미래상’ 안중근 지난 2009년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토살한 하얼빈 의거 100주년이었다. 그리고 2010년은 안중근 의사가 여순감옥에서 순국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였다.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. ...
· [안중근 의사 자서전]은 안의사가 뤼쑨감옥에 5개월 동안 투옥되어 있을 당시, 200여 개가 넘는 유묵과 함께 쓰여진 책이다. 이 책은 자서전 외에 《동양평화론》과 《인심결합론》, 유묵과 당시 대한매일신보 게재 기사, 그리고 최후 공판 기록 등을 실었다.
· 도마 안중근 선생님이십니다^^ 위의 글은 바로 안중근 선생님의 친필유묵 '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' 입니다.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정말 가시가 돋칠까? 가시가 돋친다는 것은 책을 안 읽어서 가시가 날라가. 남에게 상처를 주는 말들을 하게 되는데
1963년 '안중근의사숭모회'가 세워져 1970년에는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41주년을 기념하여 서울 남산공원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세워져 의사가 생전에 사용했던 유품과 명언 및 어록, 붓글씨로 된 휘호 등을 전시하게 되었다. 2010년 10월 26일 의거 101주년을 ...
· 이 책 한 권으로 ‘안중근 의사’에 대해 안다고 이야기 하기는 어렵지만,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고 할 수는 있을 것 같다. 전에 ‘안중근 의사’의 사진을 보면서 선비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지극히 현실적인 실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.
안중근 의사에 대해서 내가 아는 것은 만주 하얼빈 역에서 민족의 원수인 ´이토 히로부미´를 암살한 사람이라는 것 정도였다. 그런데 나는 이번에 안중근 의사의 전기를 읽고, 그가 나라를 위해 얼마나 많은 애를 썼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.
안중근(安重根, 1879년 9월 2일 ~ 1910년 3월 26일)은 대한제국의 군인,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다. 세례명 은 토마스(Thomas, 도마, 다묵(多默))이다. 본관 은 순흥 (順 …
· -안중근 의사의 좌우명- 人無遠慮 難成大業 (인무원여 난성대업) 사람이 멀리 생각하지 못하면 . 큰일을 이루기 어렵다. 丈夫雖死心如鐵 義士臨危氣似雲 (장부수사심여철 의사임위기사운) 장부는 비록 죽을지라도 그 마음은 쇠와 같고,
· 안중근 의사가 쓴 <동양평화론>, <인심결합론>, <안응칠 일기>를 읽었다. 처음에는 책 구성을 모르고 오른쪽에 있는 <동양평화론 (외)>를 먼저 읽었는데, 알고보니 <안중근 …
안중근 의사 어머니의 편지 . 네가 만약 늙은 어미보다 먼저 죽은 것을 불효라 생각한다면, 이 어미는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.
The difficulties of life are intended to make us better, not bitter.
‹ | › | |||||
Mo | Tu | We | Th | Fr | St | Su |